• Cluster Of Microbe미생물클러스터
  • 회원가입회원가입
  • SITEMAPSITEMAP
  • ENGENG
  •    자원 통합 검색      
sub_bg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센터 소개 및 담당자 안내 입니다.

인사말

※ 생물자원센터 홍보동영상이 보이지 않으시다면, 도구→인터넷옵션→개인정보→설정에 가셔서 보안등급을 보통이하로 낮추어 주십시오.



[자원분양]생물자원센터는 생물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분양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일반 미생물, 동·식물세포주의 분양신청은 생물자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품질경영]생물자원센터는 국내 생물자원은행 중 최초로 업무규격화를 확립하여 ISO9001 인정을 획득하였으며, 생물자원 수탁 등 문서를 규격화하고 통일화하였습니다. 또한 생물자원의 수집과 보존, 분양 및 개발 사업을 국제화하고 표준화 및 규격화 하였습니다.

[워크숍개최]생물자원센터에서는 산·학·연이 필요로 하는 생물자원 배양과 장기안전보존에 관한 현장 연구인력의 단기양성의 일환으로 매년 4회의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생물자원의 배양기술 및 안전보존 방법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컨퍼런스]2007년 6월에는 국가 생물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내 생물자원센터(KACC-KCTC)간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생물자원 관련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하였으며, 2007년 8월에는 국내 생물자원센터간 협력구축의 일환으로 KRIBB 컨퍼런스를 개최해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세계적인 흐름에 대응하고자 국내 생물자원센터의 발전을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국제협력]생물자원센터는 생물자원의 국제적 협력의 강화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아시아 13개국 '생물자원 보존과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아시아 미생물컨소시엄(ACM), 세계생물자원네트워크(GBRCN), 인터넷을 통해 지구의 생물다양성데이터를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등 국제협력 네트워크의 강화를 통해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MAT 실시에 대비하고 있으며, 국외의 생물자원을 확보하는데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2030년 즈음에 세계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바이오경제시대’로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명공학기술(BT)이 정보통신(IT) 등 다른 기술들과 융합하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보건, 식량, 에너지, 환경 등 주요 난제를 해결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특히 생물다양성협약(CBD)과 이에 따른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ABS) 발효(2014.10.14.)에 따라 유전자원의 이용에 대한 새로운 규칙이 적용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여 선진 각국은 생명산업의 핵심재료인 생물자원(Biological resources)의 확보와 21세기 포스터게놈(Post-genome) 시대를 대비한 자국의 생물자원의 발굴과 보호를 위하여 국가적 대응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Biological Resource Center, BRC)는 기존의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의 업무인 생물자원의 확보, 보존 및 분양 서비스 지원의 인프라 업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생물자원의 확보 및 자원 고도화를 위하여 국내·외 생물자원센터(BRC)간의 네트워크 구축, 생물자원의 정보화 및 대외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생물자원센터는 국내 최대의 생물자원은행으로서 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화에 핵심적인 재료인 표준미생물, 특허미생물, 동·식물세포주, 미세조류, 수정란, 유전체 연구소재 등을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수집 및 보존하고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생물의 화학분류학적, 분자계통학적, 생물정보학적 정보 등을 직접 생산하여 신규 생물자원의 분류학적 연구 및 탐색에 활용하고 있으며, 유용자원의 발굴과 장기보존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물자원센터는 정부의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물(생물자원) 기탁제도의 중심기관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생물자원 연구성과물 관리·유통 전담기관으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얻어진 생물자원을 기탁 받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을 산ㆍ학ㆍ연의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관리 및 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생물자원센터는 국내 생물자원 관리의 선진화를 주도해 왔으며, ISO 9001 시스템에 의한 생물자원 관리 및 운영의 표준화, 국제화 달성(2004년), 특허 생물자원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제3의 장소에 백업보존시설의 완공(2006년), 바코드시스템을 도입하여 자원의 통합적 및 효율적인 전산관리시스템 구축(2007년) 등의 큰 진전을 이루었고, 최근에는 질병치료, 헬스케어 및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치료제제, 인체공생미생물, 프로바이오틱 소재, 식물공생미생물 등의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생물자원 확보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고야의정서 발효 및 바이오경제시대 대비를 위해 생물자원센터(BRC/KCTC)는 산·학·연의 연구 및 생산 현장에서 요구되는 생물자원을 선도적으로 확보하고 자원의 관리 및 활용 체계 구축을 통하여 국가 바이오산업의 기반을 튼튼히 하는 국가 생물자원 인프라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세계 주요 생물자원센터(BRC)와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생물자원센터(BRC)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