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bg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KCTC 소식

카레 향신료, 낭포성섬유증 치료 효과
첨부파일 조회수:1722 2004-04-23
2004-04-23/연합뉴스 카레의 노란색을 내는 향신료인 강황(薑黃)이 유전성 질환인 낭포성 섬유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2일 BBC 인터넷 판에 따르면 미국 예일대 의대의 메리 이건 교수팀은 쥐를 대 상으로 실험한 결과 강황 성분이 낭포성 섬유증을 완화하거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전문잡지 `사이언스' 최신호(23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강황이 인체에도 같은 효과를 내는지는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 다. 낭포성 섬유증은 두꺼운 점막이 폐와 췌장을 막아 세균을 증식시켜 인체에 치명 적인 감염을 일으키거나 소화 작용이나 비타민 흡수를 어렵게 하는 질병이다. 이는 인체 세포가 '델타 F508'로 불리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변종을 생성하게 하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델타 F508 단백질은 원래 폐나 다른 장기세포 내의 염분을 세포 표면으로 배출 하기 위한 통로를 뚫는 역할을 하는데 변종 단백질 때문에 인체의 '품질 관리' 작용에 막혀 세포 표면으로 가지 못하고 그 결과 세포 내에 염분이 쌓여 위험한 점막이 형성된다. 연구결과 강황은 이때 델타 F508 단백질 분자가 이 `품질관리' 작용을 피해 세 포 표면까지 안전하게 도달하도록 돕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이 낭포성 섬유증을 앓고 있는 쥐를 상대로 실험한 결과 강황 치료를 받 은 쥐에서는 낭포성 섬유증의 주요 증상들이 사라졌고 10주 안에 사망한 비율이 10%로 치료를 받지 않은 쥐들의 사망률이 60%에 달한 것과 큰 차이를 보였다. 존스홉킨스 병원 낭포성 섬유증 센터의 피터 모게이젤 소장은 "이 연구는 앞으 로 환자들에게 큰 혜택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환영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소식을 들은 환자들이 함부로 자가 치료를 시도해 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험에 쓰인 것과 같은 많은 양의 강황은 음식물로는 섭취할 수 없고 특수한 식 이요법 제제에만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강황이 낭포성 섬유증 환자들이 복용하고 있는 다른 수많은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 어떤 위험한 부작용을 낳는지도 입증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만 약 3만 명의 청소년들이 낭포성 섬유증을 앓고 있으며 지금까지 치 료법이 상당히 개선돼 환자들의 수명이 연장됐으나 아직도 원인 치료보다는 증세 치료에 치중하고 있다. <조채희 기자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