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생물질 발굴 | |||
---|---|---|---|
첨부파일 | 조회수:574 | 2024-06-13 | |
출처 :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 병원성 박테리아 감염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면역 체계와 건강 유지에 중요한 장내 미생물 군집을 파괴하며, 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미생물의 내성 유전자가 병원성 박테리아에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 이런 상황에서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략하는 항생물질에 대한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되며 항생제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news, ‘Smart’ antibiotic can kill deadly bacteria while sparing the microbiome, Nature, A Gram-negative selective antibiotic that spares the gut microbiome, 2024.5.29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고 병원성 박테리아만 선택적으로 공략하는 항생제 롤라마이신(lolamicin) 개발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
○ 항생제 치료는 병원성 박테리아 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 군집을 파괴하여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을 초래하는 것으로 조사
* 장내 유해균과 유익균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유해균이 많아져서 염증, 소화불량, 면역질환 등의 질병이 발생(건강한 성인의 장내미생물은 유익균 30%, 유해균 5~10%, 우세균 60~65%로 구성)
- 항생제 대부분의 작용기전은 병원성 박테리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장내미생물도 파괴 ○ 전 세계적으로 최후의 항생제인 콜리스틴* 내성균이 증가되는 상황으로, 그람음성 박테리아를 타겟 공격하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필요 ----------- 이하 생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