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혐기성 균주(Bacteroides) stock 제조 및 배양 관련하여 문의합니다. | |||
---|---|---|---|
작성자 | icandoit42 | 조회수:342 | 2020-06-28 |
질문구분 | Bacteroidetes외 |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Bacteroides fragilis, Bacteroides ovatus 를 배양해보려고 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주로 Bifidobacteria, Lactobacillus를 배양해 왔으며, 배양 시 혐기 chamber가 없기 때문에, 혐기 jar, 혐기 indicator, 혐기팩으로 배양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번에 Bacteroides를 배양 받아 실험을 진행해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여러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니, growth medium에 resazurin, L-cysteine을 넣고, boiling 한 후, cooling 하는 과정에서 N2 로 가스 치환을 진행한 다음 멸균을 돌려 anaerobic medium을 제조하더라구요. butyl rubber septa와 syringe를 이용한다면 균 주입 및 배양은 진행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 건, KCTC에서 Bacteroides 균을 받은 후, glycerol stock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한 것입니다. 혐기 chamber 가 없기 때문에 glycerol stock을 제조하는 과정(동결건조 균 현탁-접종하는 과정, 원심분리로 cell을 분리한 후 glycerol에 현탁하는 과정)에서 산소와 접촉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glycerol에 현탁을 했다고 하더라도 혐기 환경에서 동결을 하려면, butyl rubber septa가 장착된 vial 내부의 공기를 N2로 가스 치환 진행한 다음 syringe로 glycerol 현탁액을 접종해야 할 것 같은데요... 제가 생각한 방법대로 실험을 진행하더라도 glycerol stock을 안정하게 제조 가능한가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