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bg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KCTC 소식

리지스틴호르몬 비만억제 기능 확인
첨부파일 조회수:1556 2004-04-26
2004-04-26/연합뉴스 리지스틴호르몬(ADSF)의 비만억제 기능을 확인한 논문이 발표돼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경남 진주산업대에 따르면 동물생명과학과 문양수(文良壽 41)교수는 미 국과학학술원학회지(PNAS)에 `비만과 당뇨에 관련된 리지스틴호르몬 유전자의 기능' 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에서 이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리지스틴호르몬은 2년전 미국 등지의 학자들이 지방세포에서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나 기능을 확인하지 못해 미지의 호르몬으로 남아 있었다. 이에따라 문 교수는 지난 2년간 리지스틴호르몬 유전자로 형질전환 생쥐를 생산 하고 이 생쥐로 체내 지방합성과 당뇨, 인슐린 저항성 등의 기전에 관한 연구에서 이 호르몬이 지방축적 억제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체내에 지방이 축적되면 당뇨억제 기능을 가진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는 데 리지스틴호르몬으로 지방축적을 막으면 인슐린의 효능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형질 전환 생쥐실험 결과 확인됐다. 문 교수의 연구는 미국 등 유전자 정보를 갖고 있는 국가의 학자들이 리지스틴 호르몬을 발견하고도 기능을 밝히지 못한 것을 감안하면 국내 유전자 과학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특히 비만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최근 리지스틴호르몬의 기능확인은 응용과학 분야에서 비만억제용 약 제조와 비만과 당뇨에 대한 기초과학 발달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문 교수가 생산한 형질전환 동물들은 비만과 당뇨관련 질환의 연구모델로 서 이용가치가 높아 벌써부터 학회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지성호기자 shch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