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bg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KCTC 소식

원숭이 코로나19 감염모델 완성 초읽기
첨부파일 조회수:363 2020-04-29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strong&gt &lt/strong&gt&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strong&gt원문보기:&lta href="https://news.mt.co.kr/mtview.php?no�"&gt머니투데이&lt/a&gt&lt/strong&gt&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strong&gt &lt/strong&gt&lt/span&gt&lt/p&gt &lttable class="article_photo center"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position: relative; margin: 20px; min-width: 40px; 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ǂǐpx;"&gt &lttbody&gt &lttr&gt &lttd class="img" style="padding: 0px; position: relative;"&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gt&ltimg src="https://thumb.mt.co.krቢ񳏔በ�η.jpg/dims/optimize/" alt="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사진=생명연"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680px;" /&gt&lt/span&gt&lt/td&gt &lt/tr&gt &lt/tbody&gt &lt/table&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 &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3540코로나19&&#3541에 대항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을 위해 이달 말까지 영장류&&#3540원숭이&&#3541 감염모델을 개발한다. 원숭이 감염모델은 다음달 코로나10 치료약물 효능 검증에 바로 투입된다.&ltbr /&gt &ltbr /&gt 이들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독려한 것을 계기로 코로나 치료제 개발 속도에 탄력이 붙고 있다는 신호다. 영장류 실험을 맡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3540이하 생명연&&#3541 김장성 원장은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를 갖고 “약물 치료 효과의 빠른 검증을 위해 다음달 초부터 영장류 코로나19 감염모델을 비임상 실험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ltbr /&gt &ltbr /&gt 생명연은 사람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 구조를 가진 영장류를 대상으로 치료제의 유효성과 백신 후보를 검증하게 된다. 영장류 감염실험에 투입되는 약물은 안정성이 이미 검증된 약물들이다. 미 식품의약국&&#3540FDA&&#3541 등에서 승인한 치료 약물 가운데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는 약물을 발굴하는 ‘약물 재창출’ 실험이 우선 진행된다. 현재 파스퇴르연구소는 정부 긴급연구자금을 지원받아 2500여종의 약물을 대상으로 세포실험을 진행, 코로나19 치료효능이 있는 복수의 후보 약물을 발굴했다.&ltbr /&gt &ltbr /&gt 통상 치료제 개발에 5년 이상 기간이 걸리지만, 약물 재창출 실험을 통해 빠르면 6개월 내 의료 현장에 투입할 치료제를 찾아내는 게 목표다. 영장류 실험에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의 성패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명연 오창분원은 국내에서 고위험 바이러스에 감염된 영장류 실험까지 가능한 ABL3&&#3540동물생물안전3등급&&#3541 연구시설을 갖추고 있다. 김 원장과 지난 9일 머니투데이 본사와 대전 본원을 잇는 화상 인터뷰로 만났다.&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br /&gt &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trong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gt-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영장류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 들었다. 준비상황은.&lt/strong&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pan style="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color="&#35333333"&gt▶코로나19 치료에 가장 효능을 보이는 약물을 발굴해 의료 현장에 연구 결과를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민들이 기대하는 코로나19 사태 종식과 직결되는 사안이기도 하다. 생명연은 지난 2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확보해 현재 오창분원 ABL3 시설에서 바이러스 배양과 정량화를 진행 중이다. 코로나19는 호흡기 감염병이다. 주사가 아닌 코나 기도로 바이러스를 직접 묻혀 코로나 감염 모델을 만든 뒤 비 감염군과 대조해 세포 단위 실험을 진행한다. 이달 말까지 감염 모델 개발을 완성하는 게 목표다. 이르면 5월 초 비임상 실험에 투입된다.&lt/span&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trong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gt-마우스&&#3540쥐&&#3541가 아니라 왜 영장류인가.&lt/strong&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pan style="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color="&#35333333"&gt▶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스파이크 단백질이 있다. 이를 통해 세포 속에 있는 바이러스 수용체&&#3540ACE2&&#3541와 결합해 몸속으로 침투한다. 침팬지, 고릴라 등 영장류는 인간과 수용체 염기서열&&#3540유전정보&&#3541이 가장 비슷하다. 기존에 실험동물로 많이 사용하는 생쥐는 수용체 서열이 달라 감염병을 일으킬 수 없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비말&&#3540침방울&&#3541 등에 의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등 감염력이 높다. 때문에 일반 실험실에선 실험 자체가 위험하다. ABL3급에서만 실험할 수 있다. 생명연 오창 분원은 국내에서 고위험성 바이러스를 영장류에 시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시설이다.&lt/span&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pan style="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color="&#35333333"&gt-&lt/span&gt&ltstrong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gt실험에 투입되는 영장류 규모는.&lt/strong&gt&ltbr style="color: � font-family: 맑은고딕,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gt &ltspan style="letter-spacing: ǂǐpx; text-align: justify;" color="&#35333333"&gt▶한 번에 18마리가 투입된다. 이 안에서 몇 개 그룹을 나눠 진행한다. 이를테면 치료제의 경우 한 약물당 5마리씩, 3가지 약물을 한번에 시험할 수 있다. 나머지 3마리는 바이러스만 접종해 약물의 효능을 검증하는 데 사용한다. 또는 A라는 약물을 가 그룹엔 10g, 나 그룹엔 20g, 다 그룹엔 50g씩 용량을 다르게 투여해 효과를 보는 실험도 할 수 있다. 이런 조합은 시험의뢰 회사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원숭이 모델 한 마리당 시험비용이 2500만원에 달한다. 그만큼 연구도 신중하게 진행된다.&lt/span&gt&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 font-size: 18px; color: �"&gt&ltbr /&gt &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gt&ltstrong&gt&ltspan style="font-size: 18px;"&gt.............................. 이하 생략 ..............................&lt/span&gt&lt/strong&gt&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gt&ltbr /&gt &lt/span&gt&lt/p&gt &ltp&gt&ltspan style="font-family: Arial;"&gt&ltbr /&gt &lt/span&gt&lt/p&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