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체외 성숙 장 오가노이드의 특성 획득 (A) 장 오가노이드 분화과정 및 체외 성숙화 프로세스 모식도. (B,C,D) microarray, qPCR, Immunostaining을 통한 뮤신 합성-연관 마커 발현 분석. (E) AB/PAS staining을 통한 뮤신층 형성능 분석© 뉴스1 |
국내 연구진이 인간의 장내미생물 연구를 위한 세포 모델을 한 단계 높인 고기능 ‘장기 유사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오가노이드 실용화 기반 구축은 물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연구 및 작용기전 연구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硏)에 따르면 △줄기세포연구센터 손미영 박사팀 △생물자원센터 박두상 박사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김상헌 박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3차원 장 오가노이드에 체외성숙화 기술을 적용해 진보된 형태의 숙주-공생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연구모델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
이러한 체외성숙화 장 오가노이드는 장내미생물이 장 상피에 부착증식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진 뮤신(mucin)을 분비하는 기능성 배상세포(goblet cell)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뮤신층(mucus layer)을 형성하고, 장벽 기능(barrier function)이 증가됐다.
그 결과 인간의 장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기존 장 오가노이드의 장내미생물 연구 모델로서 한계점을 극복하는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