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bg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문의 게시판 입니다.

KCTC 소식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향후 연구방향
첨부파일 조회수:875 2020-10-23

출처 : https://www.bioin.or.kr/board.do?num=289339&cmd=view&bid=issue&cPage=1&cate1=all&cate2=all2&s_key=title&s_str=%EB%A7%88%EC%9D%B4%ED%81%AC%EB%A1%9C%EB%B0%94%EC%9D%B4%EC%98%B4&sdate=&edate=

 

BioINwatch(BioIN+Issue+Watch): 19-54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향후 연구방향

 

◇ 지난 10년간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나, 아직도 풀어야할 근본적인 질문들이 존재. 향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개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숙주와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생태학적 및 진화론적인 이해 등 새로운 접근이 필요


?주요 출처 : Nature, Priorities for the next 10 years of human microbiome research, 2019.5.29.; BRIC [바이오토픽] 통합적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Integrative Human Microbiome Project) 완료 - 성과와 향후 과제는?, 2019,5.30

 

 지난 10년간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투자는 17억 달러(약 2.3조원)로, 미국, 유럽, 중국, 캐나다, 한국 및 일본 등에서 주요 프로젝트 추진


 ○ 2007∼2016년 미국의 투자액은 약 10억 달러로 가장 많이 투자, 이중 20% 정도가 인간마이크로바이옴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HMP*)로 추진
   - 인간마이크로바이옴프로젝트(HMP)는 최초의 대규모 프로젝트 중 하나로 국립보건원(NIH) 지원으로 2007년 시작하여 2016년 종료. HMP는 미국 및 전세계적으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매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인간 질병 및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1기 (HMP1)와 2기(HMP2)로 추진. 광범위한 연구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참조 시퀀스(reference sequence), 멀티오믹(multi-omic) 데이터세트, 계산 및 통계도구, 분석 및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

 

 


..................... 이하 생략 ..................